클라라 하스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라 하스킬은 루마니아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1895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나 1960년 브뤼셀에서 사망했다. 빈과 파리에서 피아노를 배우고, 15세에 파리 음악원을 졸업한 후 유럽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시작했으나, 척추 측만증과 무대 공포증으로 인해 오랫동안 어려움을 겪었다. 1950년 전후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하여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파블로 카잘스 등과 협연했으며, 맑은 음색과 섬세한 프레이징으로 호평을 받았다. 찰리 채플린은 하스킬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윈스턴 처칠과 함께 자신이 만난 세 명의 천재 중 한 명으로 칭했으며, 스위스에서는 그녀를 기리는 클라라 하스킬 국제 피아노 콩쿠르가 개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디누 리파티
디누 리파티는 1917년 루마니아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며, 유럽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쳤으나 33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고, 그의 연주는 완벽한 해석과 뛰어난 기교로 널리 알려져 있다. - 루마니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라두 루푸
라두 루푸는 루마니아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1960년대 국제 콩쿠르 우승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런던 데뷔 이후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다 2018-2019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하고 2022년에 사망했다. - 루마니아의 피아노 연주자 - 마이클 크레투
루마니아 출신 음악가 마이클 크레투는 솔로 활동과 프로듀서 경력을 거쳐 신비주의 음악 프로젝트 Enigma를 시작, "Sadeness (Part I)"와 "Return to Innocence" 등의 히트곡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루마니아의 피아노 연주자 - 디누 리파티
디누 리파티는 1917년 루마니아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며, 유럽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쳤으나 33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고, 그의 연주는 완벽한 해석과 뛰어난 기교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스위스에 거주한 루마니아인 - 비오렐 몰도반
비오렐 몰도반은 루마니아 출신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뛰어난 득점력으로 다수의 리그에서 우승을 경험했으며 루마니아 국가대표로도 활약했고, 감독으로도 리가 II 우승을 차지했다. - 스위스에 거주한 루마니아인 - 디누 리파티
디누 리파티는 1917년 루마니아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며, 유럽 각지에서 연주 활동을 펼쳤으나 33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고, 그의 연주는 완벽한 해석과 뛰어난 기교로 널리 알려져 있다.
클라라 하스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클라라 하스킬 |
출생 | 1895년 1월 7일 |
출생지 | 부카레슈티 |
사망 | 1960년 12월 7일 |
사망지 | 브뤼셀 |
국적 | 스위스 |
악기 | 피아노 |
장르 | 클래식 음악 고전파 음악 낭만파 음악 실내악 |
직업 | 피아니스트 |
2. 생애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클라라 하스킬은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평생 척추 측만증과 같은 건강 문제로 고통받았다. 그녀는 빈과 파리에서 피아노 교육을 받았으며, 파리 음악원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초기에는 유럽 순회 연주를 했으나, 건강 문제와 극심한 무대 공포증으로 인해 경력을 쌓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오랫동안 경제적으로도 힘든 시기를 보냈다.[12] 이 시기 조르제 에네스쿠, 파블로 카살스와 같은 거장들의 반주를 맡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을 피해 유대인이었던 하스킬은 스위스로 망명했으며, 전쟁 후에도 스위스와 네덜란드를 주요 활동 무대로 삼았다. 1949년 네덜란드에서의 연주회가 성공을 거두면서 비로소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12]
1950년대에 이르러 전성기를 맞이하며 카라얀, 페렌츠 프리차이 등 유명 지휘자들과 협연하고 필립스, 도이치 그라모폰 등에서 음반을 녹음했다. 특히 바이올리니스트 아르투르 그뤼미오와의 협연은 유명하다. 그녀의 연주는 맑은 음색과 섬세한 음악적 프레이징으로 특징지어진다.[12]
1960년 12월, 그뤼미오와의 연주회를 위해 방문한 브뤼셀의 기차역에서 불의의 사고로 넘어져 부상을 입고 다음 날 세상을 떠났다. 향년 65세였다. 그녀의 유해는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후에도 찰리 채플린[5], 프란치스코 교황[6] 등 많은 이들에게 존경받는 피아니스트로 기억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95-1913)
하스킬은 부쿠레슈티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 이삭 하스킬(1858–1899)은 베사라비아(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에서 루마니아로 이주했으며,[1] 클라라가 4살 때인 1899년 급성 폐렴으로 사망했다.[2] 그녀의 어머니 베르테 하스킬(née 모스코나, 1866–1917)은 세파르디 유대인 출신이었다. 하스킬은 어려서부터 척추 측만증으로 어려움을 겪었다.그녀는 빈에서 리하르트 로베르트에게 피아노를 배웠는데, 그의 제자로는 루돌프 제르킨과 게오르그 젤 등이 있었다.[10] 또한 잠시 페루초 부소니에게도 사사했다.[3] 이후 프랑스로 이주하여 가브리엘 포레의 제자였던 조제프 모르팽에게 배웠으며, 하스킬은 모르팽을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 중 하나로 꼽았다.
1905년, 10세의 나이로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공식적으로는 알프레드 코르토의 제자가 되었으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지도를 라자르 레비와 마담 지로-라타르스(Mme Giraud-Latarse)에게 받았다. 코르토는 하스킬의 교육을 사실상 동료인 레비에게 맡겼다고 전해진다.[11] 하스킬은 15세에 최우수상(''Premier Prix'')을 받고 음악원을 졸업했다. 졸업 후 유럽 순회 연주를 시작했으나, 평생에 걸친 건강 문제로 경력이 자주 중단되었다. 1913년에는 척추 측만증의 악화를 막기 위해 깁스를 착용해야 했다.[12]
2. 2. 질병과 무명 시절 (1913-1949)
파리 음악원을 최우수상으로 졸업한 후, 하스킬은 유럽을 순회하며 연주 활동을 시작했지만, 그녀의 경력은 평생 동안 겪었던 여러 신체적 질병으로 인해 순탄치 않았다.[12] 1913년에는 척추 측만증의 진행을 막기 위해 석고 깁스를 착용해야 했다.[12] 이후 잦은 질병에 시달렸고, 1920년부터는 극심한 무대 공포증까지 겪게 되면서 비평가들의 호평이나 재정적 성공을 거두기 어려웠다.[12] 이 시기 그녀는 대부분의 생애를 극심한 가난 속에서 보냈다.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바이올리니스트 조르제 에네스쿠, 첼리스트 파블로 카살스와 같은 저명한 음악가들의 반주를 맡기도 했다. 그러나 복귀 이후에도 그녀가 인정받기를 원했던 프랑스에서는 여전히 주목받지 못하는 시간을 보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나치 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하자, 유대인이었던 하스킬은 비시 정권 하의 박해를 피해 마르세유를 거쳐 스위스로 망명했다.[12] 이후 전쟁이 끝난 뒤에도 하스킬은 스위스와 네덜란드를 주요 활동 기반으로 삼게 되었다. 그녀가 음악계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기 시작한 것은 1949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일련의 콘서트가 성공을 거두면서부터였다.[12]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스킬은 오랜 무명 시절을 벗어나 점차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2. 3. 국제적 명성과 사망 (1949-196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특히 1949년 네덜란드에서의 성공적인 연주회를 통해 비로소 정당한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12]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스킬은 점차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1951년 스위스 베베로 이주했으며,[4] 이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4]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하스킬은 카라얀과 같은 저명한 지휘자들 및 카살스, 채플린과 같은 유명 인사들과 교류하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에서 활발히 활동하기 시작했다. 가는 곳마다 청중들의 열광적인 환호를 받았으며, 이 시기부터 필립스와 도이치 그라모폰 등에서 음반 녹음을 남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병약했고 사교적이지 못한 성격 탓에 동시대 다른 연주자들만큼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지휘자 페렌츠 프리차이와 함께 녹음한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이 유명하다.
피아니스트로서 하스킬의 연주는 바이올린 연주 경험에서 비롯된 듯한 맑은 음색과 섬세한 음악적 프레이징이 특징이었다.[12] 투명함과 섬세한 영감 역시 그녀 스타일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실내악 연주자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게오르그 에네스쿠, 외젠 이자이, 파블로 카잘스, 디누 리파티, 요제프 시게티, 게자 안다, 아이작 스턴, 헨리크 셰링, 그리고 그뤼미오 등 당대 최고의 연주자들과 협연했다. 특히 1953년부터 시작된 바이올리니스트 그뤼미오와의 협력은 매우 유명하다. 그들은 때때로 악기를 바꿔 연주하기도 했다.
하스킬은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존 바비롤리, 루돌프 바움가르트너, 토마스 비첨, 에이드리언 볼트,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앙드레 클뤼탕스, 딘 딕슨, 페렌츠 프리차이,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파울 힌데미트, 데지레-에밀 잉겔브레히트, 오이겐 요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루돌프 켐페, 오토 클렘페러, 라파엘 쿠벨릭, 이고르 마르케비치, 피에르 몽퇴, 샤를 뮌슈, 폴 파레이, 한스 로스바우드, 볼프강 자발리슈, 게오르그 숄티, 레오폴트 스토코프스키 등 수많은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연했다.
그녀의 가장 유명한 오케스트라 협연 음반 중 하나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0번 라단조, K. 466과 피아노 협주곡 24번 다단조, K. 491이다. 이 음반은 1960년 11월, 이고르 마르케비치가 지휘하는 라무뢰 오케스트라와 함께 녹음되었다.
1960년 12월, 그뤼미오와의 연주회를 위해 브뤼셀에 도착한 하스킬은 브뤼셀 남역 플랫폼 계단에서 발을 헛디뎌 넘어지는 사고를 당했다. 당시 그녀는 도움을 주려던 그뤼미오 부인의 손을 사양하고 혼자 계단을 오르려던 참이었다. 급히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다음 날 아침,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4] 의식을 잠시 회복했을 때, 파리에서 온 여동생들에게 다음 날 그뤼미오와 연주할 수 없게 된 것을 미안해하며 "적어도 손만은 다치지 않아 다행이야"라고 속삭였다고 전해진다.[14] 그녀의 유해는 프랑스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녀의 친구였던 찰리 채플린은 "내 평생 세 명의 천재를 만났다. 아인슈타인 교수, 윈스턴 처칠, 그리고 클라라 하스킬이다. 나는 정식 음악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그녀의 터치는 절묘했고, 표현은 훌륭했으며, 테크닉은 경이로웠다고 말할 수 있다"고 극찬했다.[5][15] 2013년 인터뷰에서 프란치스코 교황 역시 하스킬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가 중 한 명으로 꼽으며 특히 그녀의 모차르트 연주를 언급했다.[6]
3. 주요 협연자 및 음악적 특징
클라라 하스킬은 피아니스트로서 맑은 음색과 독특한 프레이징, 투명하고 섬세한 표현으로 유명했다.[12] 그녀는 뛰어난 실내악 연주자이기도 했으며, 당대의 많은 저명한 음악가들과 협연했다. 특히 바이올리니스트 아르튀르 그리미오와의 오랜 음악적 파트너십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수많은 유명 지휘자들과 함께 오케스트라 협연 무대에 섰으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비롯한 여러 중요한 녹음을 남겼다.
3. 1. 협연자
클라라 하스킬은 초기 경력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에네스코와 첼리스트 카잘스의 반주를 맡았다. 이후 실내악 연주자로서 높은 명성을 얻었으며, 조르제 에네스쿠, 외젠 이자이, 파블로 카살스, 디누 리파티, 요제프 시게티, 게자 안다, 아이작 스턴, 헨리크 셰링 등 당대의 저명한 연주자들과 협연했다.특히 1953년부터는 바이올리니스트 아르튀르 그뤼미오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었으며, 이들의 협연은 높이 평가받는다. 그뤼미오 역시 뛰어난 피아니스트였기에 때때로 둘은 악기를 바꿔 연주하기도 했다. 하스킬은 1960년 그뤼미오와의 연주회를 위해 방문한 브뤼셀의 브뤼셀 남역 계단에서 넘어져 사망했다.
하스킬은 다수의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연했다. 그녀와 함께한 지휘자들로는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존 바비롤리, 루돌프 바움가르트너, 토마스 비첨, 에이드리언 볼트,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앙드레 클뤼탕스, 딘 딕슨, 페렌츠 프리차이,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파울 힌데미트, 데지레-에밀 잉겔브레히트, 오이겐 요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루돌프 켐페, 오토 클렘페러, 라파엘 쿠벨릭, 이고르 마르케비치, 피에르 몽퇴, 샤를 뮌슈, 폴 파레이, 한스 로스바우드, 볼프강 자발리슈, 게오르그 숄티, 레오폴트 스토코프스키 등이 있다.
그녀의 협연 녹음 중에서는 지휘자 페렌츠 프리차이와 함께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들이 유명하다. 또한 1960년 11월, 이고르 마르케비치가 지휘하는 라무뢰 오케스트라와 녹음한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0번 라단조, K. 466과 피아노 협주곡 24번 다단조, K. 491 음반은 대표적인 녹음으로 평가받는다.
3. 2. 음악적 특징
피아니스트로서 하스킬의 연주는 바이올린 연주 경험에서 비롯된 듯한 맑고 순수한 음색과 독특한 프레이징이 특징이었다.[12] 투명성과 섬세한 영감 역시 그녀 스타일의 중요한 부분이었다.실내악 연주자로서도 높은 명성을 누렸으며, 게오르그 에네스쿠, 외젠 이자이, 파블로 카잘스, 디누 리파티, 요제프 시게티, 게자 안다, 아이작 스턴, 헨리크 셰링, 아르튀르 그리미오 등 당대의 뛰어난 음악가들과 협연했다. 특히 바이올리니스트 그리미오와는 각별한 음악적 파트너 관계를 맺었으며, 마지막 콘서트도 함께 했다. 그리미오 역시 뛰어난 피아니스트였기에 때때로 두 사람은 악기를 바꿔 연주하기도 했다.
하스킬은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존 바비롤리, 루돌프 바움가르트너, 토마스 비첨, 에이드리언 볼트,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앙드레 클뤼탕스, 딘 딕슨, 페렌츠 프리차이,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파울 힌데미트, 데지레-에밀 잉겔브레히트, 오이겐 요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루돌프 켐페, 오토 클렘페러, 라파엘 쿠벨릭, 이고르 마르케비치, 피에르 몽퇴, 샤를 뮌슈, 폴 파레이, 한스 로스바우드, 볼프강 자발리슈, 게오르그 숄티, 레오폴트 스토코프스키 등 수많은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연했다.
그녀의 가장 유명한 오케스트라 협연 녹음 중 하나는 1960년 11월, 이고르 마르케비치가 지휘하는 라무뢰 오케스트라와 함께 녹음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인 피아노 협주곡 20번 라단조, K. 466과 피아노 협주곡 24번 다단조, K. 491이다. 이 음반은 필립스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었으며(CD No. 464 718-2, 재발매 No. 478 479-9, 클라라 하스킬 에디션 박스 세트 데카 478 254-1 수록), 특히 K. 491 협주곡 2악장의 서정적이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해석이 돋보인다.
한편, 하스킬은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은 절대로 연주회에서 연주하지 않았다. 그 이유에 대해 그녀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제자 디누 리파티가 이 곡을 너무나 완벽하게 연주했기 때문이며, 또한 스승 알프레드 코르토가 극심한 무대 공포증을 겪는 자신에게는 이 곡을 연주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밝혔다.[13]
4. 평가 및 유산
하스킬의 연주는 맑은 음색과 섬세한 음악적 프레이징으로 유명했으며, 이는 그녀의 바이올린 연주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가받는다.[12] 투명성과 감성적인 영감 또한 그녀 스타일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녀는 실내악과 오케스트라 협연에서도 뛰어난 기량을 보여 당대 최고의 음악가들과 활발히 교류했다.
그녀는 브뤼셀 남역 계단에서 넘어져 입은 부상으로 65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사고 다음 날에는 바이올리니스트 아르튀르 그리미오와의 협연이 예정되어 있었다. 의식을 잃고 병원으로 옮겨진 하스킬은 잠시 의식을 회복하여 파리에서 온 여동생들에게 다음 날 연주를 할 수 없게 된 것을 사과하며 "적어도 손만은 지켜서 무사했어"라고 속삭였다고 전해진다.[14] 그녀의 시신은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하스킬의 친구였던 찰리 채플린은 그녀를 아인슈타인, 윈스턴 처칠과 함께 자신이 만난 세 명의 천재 중 한 명으로 꼽으며 "그녀의 터치는 절묘했고, 표현은 훌륭했으며, 테크닉은 뛰어났다"고 극찬했다.[5][15] 2013년 인터뷰에서 프란치스코 교황 역시 하스킬을 가장 좋아하는 음악가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그녀의 모차르트 연주를 높이 평가했다.[6]
사후 그녀를 기리기 위해 1963년부터 스위스 베베(Vevey)에서 클라라 하스킬 국제 피아노 콩쿠르가 2년마다 열리고 있다.[8][9] 베베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거리도 있다. 또한 2017년 8월에는 그녀의 삶과 음악을 다룬 70분 분량의 라디오 다큐멘터리 ''Clara Haskil, le mystère de l'interprètefra''가 제작되기도 했다.[7]
4. 1. 당대 및 후대의 평가
클라라 하스킬은 경력 초기에 잦은 질병과 1920년경부터 나타난 극심한 무대 공포증으로 인해 비평가들의 호평이나 재정적 성공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2] 스승 알프레드 코르토는 초기에 그녀를 "하녀가 연주하는 것 같다"고 평하며[11] 동료 라자르 레비에게 사실상 교육을 위임하기도 했다.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9년 네덜란드에서의 일련의 연주회를 통해 비로소 정당한 평가를 받기 시작했으며,[12] 이후 그녀가 연주하는 곳마다 "열광적인 청중이 맞이했다"고 전해진다. 1951년 이후 스위스 베베에 정착했으며,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4]
피아니스트로서 하스킬의 연주는 맑고 순수한 음색과 섬세한 음악적 프레이징이 특징으로 꼽힌다. 이는 그녀가 바이올린 연주 경험이 있었던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가받는다.[12] 투명성과 감성적인 영감 역시 그녀 연주 스타일의 중요한 요소였다.
실내악 연주자로서도 높은 명성을 누렸으며, 게오르그 에네스쿠, 외젠 이자이, 파블로 카잘스, 디누 리파티, 요제프 시게티, 게자 안다, 아이작 스턴, 헨리크 셰링 등 당대의 여러 유명 연주자들과 협연했다. 특히 1953년부터 바이올리니스트 아르투르 그뤼미오와의 협연은 매우 유명하며, 하스킬은 마지막 연주회도 그와 함께할 예정이었다.
오케스트라 협연 중에서는 1960년 11월 이고르 마르케비치가 지휘하는 라무뢰 오케스트라와 녹음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0번 라단조, K. 466과 피아노 협주곡 24번 다단조, K. 491 음반이 특히 유명하다. 이 녹음에서 특히 K. 491의 2악장은 매우 서정적이면서도 활력 넘치는 연주로 평가받는다.
친구였던 찰리 채플린은 하스킬의 재능에 대해 "내 평생 세 명의 천재를 만났는데, 아인슈타인 교수, 윈스턴 처칠, 그리고 클라라 하스킬이다. 나는 정식 음악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그녀의 터치는 훌륭했고, 표현은 훌륭했으며, 기술은 놀라웠다고 말할 수 있다"고 극찬했다.[5][15]
한편, 스승 코르토는 후일 제자 도야마 게이코에게 하스킬에게 필요한 것은 '내버려 두는 것'이었으며, 그녀가 균형을 잡을 수 없는 고독한 시간 속에서 가장 훌륭한 것을 만들어내는 재능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코르토는 하스킬의 극심한 무대 공포증 때문에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은 연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13]
2013년 인터뷰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하스킬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가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특히 그녀의 모차르트 연주를 높이 평가했다.[6]
사후 그녀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스위스에서는 1963년부터 클라라 하스킬 국제 피아노 콩쿠르가 열리고 있다.
4. 2. 클라라 하스킬 국제 피아노 콩쿠르
클라라 하스킬 국제 피아노 콩쿠르는 클라라 하스킬을 기리기 위해 1963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피아노 경연 대회이다.[8][9] 콩쿠르는 하스킬이 1942년부터 1960년 브뤼셀에서 사망할 때까지 거주했던 스위스 베베(Vevey)에서 열린다. 베베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거리도 있다.[8][9]콩쿠르 팜플렛에는 다음과 같이 설립 목적과 취지를 밝히고 있다. "클라라 하스킬 콩쿠르는 1895년 부쿠레슈티(Bucharest)에서 태어난, 루마니아 출신의 비할 데 없는 스위스 피아니스트를 기리고 그의 기억을 영원히 간직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 이 콩쿠르는 클라라 하스킬에게서 영감을 받은 음악적 이상을 추구하며, 언제나 모범이 될 전 세계의 젊은 피아니스트들을 환영합니다."[8][9]
참조
[1]
서적
Clara Haskil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Clara Haskil in Jewish Women's Archive
https://jwa.org/ency[...]
[3]
웹사이트
Haskil, Clara
http://www.hls-dhs-d[...]
2017-09-02
[4]
웹사이트
Clara Haskil biography
https://jwa.org/ency[...]
2020-04-29
[5]
인터뷰
Swiss Radio interview
1961-04-19
[6]
웹사이트
A Big Heart Open to God: An interview with Pope Francis
http://americamagazi[...]
2017-09-02
[7]
웹사이트
Clara Haskil : Le mystère de l'interprète
https://www.francemu[...]
2020-04-29
[8]
웹사이트
Prix, Finalistes & Jurys - Concours Clara Haskil
http://www.clara-has[...]
2017-09-02
[9]
웹사이트
Le Concours Clara Haskil privé d'étoile du piano
http://www.letemps.c[...]
2017-09-02
[10]
웹사이트
http://www.peter-feu[...]
[11]
위키
Clara Haskil
[12]
웹사이트
http://www.bach-cant[...]
[13]
서적
光と風のなかで 愛と音楽の軌跡
弥生書房
1993
[14]
웹사이트
http://www.peter-feu[...]
[15]
위키
Clara Hask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